연구소 소식

문제행동 아래 숨겨진 의도, 그리고 대처방법. 꼭 기억하세요. [소장 칼럼#6]

이미지


안녕하세요 더문ABA연구소 윤성문 소장입니다.지난 시간에는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관점과 이러한 관점이 반영된 다양한 용어들에 대해서 나누어 보았습니다. 오늘은 실제로 일어나는 문제행동들의 이면에 있는 진짜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문제행동들을 만났을 때 가장 효과적인 대처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지난번 칼럼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https://blog.naver.com/themoon_aba/222942455867



문제행동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시나요? 거부하는 행동, 물건을 집어던지는 행동, 욕을 하는 행동, 때리는 행동 등을 쉽게 떠올리실 수 있을겁니다. 부모님을 포함한 대부분의 어른들은 이 행동 자체의 옳고 그름에 대해서만 판단하기 쉽지만, ABA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그 이면을 살필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 아이가 문제행동이 있고 그 행동이 예전부터 오랫동안 유지되어 오고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 ABA관점에서는 이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문제행동이 있다는 것은 과거에 그 문제행동을 통해서 원하는 목표를 이룬 적이 있거나, 현재도 그러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하고 있다는 뜻과 동일합니다. 즉 문제행동을 통해 아이가 얻고자 하는 것, 아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것이 분명히 있다는 말입니다.



문제행동은 무엇을 원하고 있을까


그 아이가 얻고자 하는 것을 우리는 행동의 '기능'이라 부르고 그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기능행동평가라고 부릅니다. 문제행동의 기능은 4가지, Sensory(감각추구), Escape(탈출), Attention(주의집중), Tangible(눈 앞의 물건, 원하는 물건/활동 얻기) 이렇게 나뉘어 집니다. 기억하기 편하게 영어의 앞글자만 따서 SEAT로 외우시면 편합니다.즉, 문제행동을 함으로써 위 4가지 중에 원하는 기능을 하는 강화물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획득해 오고 있기에 행동이 없어지지 않고 유지되어 오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 경우에도 하나의 기능씩 맞추어 중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행동에 가장 효과적인 중재 방법 2가지


문제행동을 의사소통의 한 표현이라고 보았을 때, 어떤 식으로 의사소통 해야하는지 올바른 행동을 가르치면서 기존의 문제행동은 소거해주는 방법으로 중재하여 가르쳐야 하는데 그걸 ABA에서는 대체행동에 대한 차별강화라고 부릅니다. 올바른 행동(대체행동)을 강화하고 문제행동은 소거해준다는 뜻인데요. 이 대체행동에 대해 가르칠 때 필수적인 것이 바로 대체의사소통방식(수화, 그림)을 가르쳐주는 것과 토큰 시스템의 활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말을 할 수 있는 아이들의 경우에도 문제행동중재를 할 때에는 그림으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의 PECS와, 토큰 보드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ECS의 사용을 통해 아이들을 문제행동 자체에서 환기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고, 그 그림을 바로 토큰보드와 연계하여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문제행동중재까지 이어나갈 수 있는거죠. PECS(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그림 교환 의사소통 체계)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그림교환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가장 많이 쓰이는 대체의사소통 도구 중 하나입니다. 참고로 PECS라는 용어는 한 회사에서 라이센스를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어 미국학교에서는 법적분쟁을 피하기 위해 Picture Binder라고 부르기도 했었고 사실 저희 연구소에서도 PECS 대신 저희만의 방식으로 이름을 붙여 부르려고 고민 중에 있습니다.


문제행동중재 시 PECS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프로그램이 토큰 시스템입니다. 토큰 시스템은 문제행동을 중재한다고 했을 때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필드에서 문제행동중재를 해왔던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대부분의 문제행동 중재는 토큰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렇듯 토큰시스템을 평상시에 연습을 해둔다면 문제행동 발생 시 문제행동의 빈도와 강도를 줄어기나 또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토큰 시스템과 PECS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좀 더 세부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자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공감을,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원문: https://blog.naver.com/themoon_aba/222948786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