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행동지원이라는 시스템이 어떻게 학교에 도입되었는지 그 배경을 살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1990년대 미국 전역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균이 현저히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상태를 개선하고자 1965년에 제정된 초중등교육법(ESEA)의 개정을 단행하였고 2002년 아동낙오방지법(NCLB)이라는 이름의 법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본 법률은 미국교육을 받는데 있어 어떠한 아이들도 실패해서는 안된다는 법률입니다.
NCLB의 도입 관련해서 이런 비하인드 스토리도 있다고 합니다. 2001년 미국 911테러를 기억하시나요? 발생 당시 테러를 일으킨 테러리스트들 중 1명이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 교육을 받고 자라온 미국인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정부가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서 당시 대통령인 조지부시 대통령이 지금까지 유지되어 오던 미국교육의 실패를 인정하게 되었고, 그 동안 보류하던 '아동낙오방지법'을 통과시킨 계기가 되었다고도 하네요. 저도 다른 분께 들었던 스토리인데 꽤 그럴듯하더라구요.
무튼, 이렇게 아동낙오방지법(NCLB)이 채택되면서 도입된 것이 바로 개별사례연구 중심, 심리학 기반이 아닌 누구에게나 적용가능한 증거기반체계를 가지고 있는 ABA가 채택되었고 학교현장에서는 PBS라는 이름으로 모든 아이들에게 본격적으로 ABA가 실행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성문 소장입니다. 예전에 몇몇 카페에서 샌프란 문선생이라는 별명으로 자주 글을 남긴적이 있는데, 최근 블로그 글들을 보고 그 문선생 혹은 윤선생이 맞는지 꽤 많은 분들께서 질문을 주셨어요. 일일히 답변을 못드려 죄송합니다. 민망하지만 그 사람 맞다는 말씀을 먼저드리고 시작할게요
지난번 칼럼은 ABA치료가 아동을 로봇처럼 만든다는 이야기 에 대해서 다루어보았습니다. 그 소문의 사실과 오해에 대해서 말씀드렸었는데요. 혹시 해당 칼럼을 보지 못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눌러서 꼭 한번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themoon_aba/222981872100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홉번째 칼럼 주제는 긍정적 행동지원입니다. ABA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셨다면, PBS에 대해서 들어보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처음 듣는 분들도 많으실거에요. 사실 한국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PBS라는 용어가 ABA보다 더 보편화된 내용입니다. ABA는 모르지만 PBS대해서는 알고, PBS는 알지만 BCBA등의 국제 전문가 자격증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아이러니함이 있습니다. 본 칼럼을 통해서 해당 부분을 명료하게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BS는 Positive Behavior Supports의 약자로 긍정적 행동 지원이라고 하며, 학교에 적용된 ABA시스템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Positive는 Positive Reinforcement, 정적 강화의 약자입니다.
긍정적 행동지원(PBS)의 역사
긍정적 행동지원이라는 시스템이 어떻게 학교에 도입되었는지 그 배경을 살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1990년대 미국 전역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균이 현저히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상태를 개선하고자 1965년에 제정된 초중등교육법(ESEA)의 개정을 단행하였고 2002년 아동낙오방지법(NCLB)이라는 이름의 법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본 법률은 미국교육을 받는데 있어 어떠한 아이들도 실패해서는 안된다는 법률입니다.
NCLB의 도입 관련해서 이런 비하인드 스토리도 있다고 합니다. 2001년 미국 911테러를 기억하시나요? 발생 당시 테러를 일으킨 테러리스트들 중 1명이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 교육을 받고 자라온 미국인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정부가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서 당시 대통령인 조지부시 대통령이 지금까지 유지되어 오던 미국교육의 실패를 인정하게 되었고, 그 동안 보류하던 '아동낙오방지법'을 통과시킨 계기가 되었다고도 하네요. 저도 다른 분께 들었던 스토리인데 꽤 그럴듯하더라구요.
무튼, 이렇게 아동낙오방지법(NCLB)이 채택되면서 도입된 것이 바로 개별사례연구 중심, 심리학 기반이 아닌 누구에게나 적용가능한 증거기반체계를 가지고 있는 ABA가 채택되었고 학교현장에서는 PBS라는 이름으로 모든 아이들에게 본격적으로 ABA가 실행되게 됩니다.
긍정적 행동지원(PBS) 도입 그 이후
미국에서 긍정적 행동지원 시스템이 도입된 후, 국제행동분석전문가협회(BACB)에서 발급하는 고등수준 자격증 RBT, 학사수준 자격증 BCaBA, 석사수준 자격증 BCBA 등을 취득한 행동분석가들이 학교현장에 고용되기 시작했고 현재는 대부분의 특수학교 포함 일반학교에서 행동분석가를 교사들의 슈퍼바이저로서 고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PBS는 더 대중화가 되었고 수많은 데이터들을 축적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PBS에 대한 관심은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시교육청에서는 PBS 도입 10주년 기념으로 포럼이 열렸는데요. 저도 본 포럼에서 미국에서 교사부터 교감으로 재직하면서 현장에 적용해 왔던 경험과 실제 미국 사례를 통해서 PBS가 어떻게 현장에서 성과를 거두어왔는지 그 주요 요인들에 대해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20분정도의 짧은 시간에 녹여내려니 꽤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다행히 많은 선생님들께서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을 주셨었습니다.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영상을 꼭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https://youtu.be/kpEEc-vpiLY
원문: https://blog.naver.com/themoon_aba/223025237733